반응형
안녕하세요! 오늘은 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.
정부에서 청년 채용을 촉진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주 및 근로자 지원금 제도인데요.
특히, 2025년부터 2유형이 신설되면서 근로자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! 🏆
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이란?
청년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가 사업주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기업이 청년을 고용하면 최대 720만 원을 받을 수 있고, 근로자도 48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.
이제 사업주뿐만 아니라 청년 근로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게 핵심 변화랍니다!
✅ 1유형: 사업주 지원 중심
- 취업애로청년을 채용한 사업주에게 최대 720만 원 지급
- 5인 이상 기업이 해당되며, 1년간 지원금 지급
✅ 2유형: 사업주 + 근로자 지원
- 1유형과 동일하게 사업주에게 720만 원 지원
- 추가로 근로자에게도 2년 근속 시 480만 원 지급
- 제조업, 조선업, 보건복지업 등 빈일자리 업종 대상
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 조건
1) 사업주 지원 조건 👨💼
- 고용보험 기준 상시근로자 5인 이상 기업
- 취업애로청년을 채용한 경우
-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후 신청 가능
2) 근로자 지원 조건 👩💻
- 만 15~34세 청년이어야 함
- 취업애로청년(4개월 이상 공백, 고졸 이하,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등)
- 2년 근속 시 480만 원 지급 (18개월: 240만 원, 24개월: 240만 원)
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신청 방법
✅ 사업주 신청 절차
- 고용24 누리집에서 채용 전 사전 신청
- 청년 채용 후 6개월 유지 후 1회차 지원금(360만 원) 신청
- 이후 3개월 단위로 추가 지원금(180만 원 × 2회) 신청
✅ 근로자 신청 절차
- 18개월 근속 후 3개월 이내에 직접 신청
- 고용24에서 지원금 신청
- 18개월 후 240만 원, 24개월 후 240만 원 지급
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추가 꿀팁
✅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금과 중복 가능
✅ 사전 신청을 놓쳤다면? 채용 후 3개월 이내 사후 신청 가능
✅ 빈일자리 업종이라면? 2유형 혜택도 챙길 것!
지금까지 2025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에 대해 알아봤어요!
청년 채용을 고민 중인 사업주라면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.
또한, 근로자로서 장기근속을 계획한다면 2유형 지원금도 적극 활용하세요! 🏆
반응형